세계 미술시장 '풍향계' 아트바젤 홍콩에 찬바람 불었다

입력 2024-03-27 18:54   수정 2024-04-04 16:21


매년 3월 개최되는 ‘아트바젤 홍콩’은 아시아 최대 규모의 아트페어이자 글로벌 미술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로 여겨진다. 세계 미술업계가 이 페어에서 팔리는 예술품 규모를 보고 한 해 시장을 전망하기 때문이다. 올해 행사(26~29일)는 그 규모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으로 완벽히 회귀한 수준으로 열려 더욱 주목받았다. 40개 국가에서 242개 갤러리가 참가했다. 지난해에 비해 37% 증가한 숫자다.

하지만 지난 26일 열린 VIP 오픈일 첫날 행사 직후부터 아트바젤 홍콩은 ‘기대 이하’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작품을 쓸어 담던 중국 손님들의 대화 소리도 올해 행사장에선 듣기 힘들었다. 화이트큐브에 나온 박서보의 7억2000만원짜리 작품도 대기자만 있을 뿐 쉽게 팔리지 않았다. 오픈일 이전 사전 판매만으로 부스 작품의 절반 이상을 팔았던 지난해와 사뭇 다른 분위기다.
○첫날 분위기 ‘기대 이하’
이번 장터에 부스를 낸 242개 갤러리 중 한국 화랑은 10곳. 국제갤러리는 오픈과 동시에 강서경의 작품을 9만달러(약 1억2060만원)에, 줄리아 오피의 작품을 11만파운드(약 1억8600만원)에 판매했다. 하지만 한국 화랑들도 뜨거운 분위기를 느끼지 못하는 눈치다. 윤혜정 국제갤러리 이사는 “중국 손님보다 한국인이 많아진 건 사실”이라며 “지난해처럼 오픈일이나 사전 판매로 불티나게 팔리는 분위기는 아니다”고 말했다.

홍콩 당국은 정상화된 아트바젤의 성공에 사활을 걸었다. 지난해엔 ‘절반의 성공’이라는 평가를 받은 터라 더욱 총력을 다했다. 3월 한 달 내내 ‘홍콩 아트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을 내걸고 다양한 ‘메가 이벤트’를 들여왔다. 각종 글로벌 행사의 홍콩 진입을 위해 ‘메가아트앤드컬처위원회’를 만들고 에이드리언 청 K11그룹 회장을 의장으로 선임하기도 했다.

행사가 열리기 전까지만 해도 아트바젤 홍콩에 대한 전망은 낙관적이었다. 지난 13일 아트바젤과 글로벌 금융투자회사 UBS가 공개한 ‘글로벌 아트마켓 2024’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예술시장은 9%가량 성장하며 2022년 영국에 내준 2위 자리를 탈환했다.

그러나 아트바젤 홍콩 주최 측에서는 통상 첫날 공개하던 ‘판매 리포트’를 올해는 공개하지 않았다. 판매 실적이 당초 기대에 못 미쳐 이례적으로 데이터 비공개를 선택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아트페어의 특성상 VIP 공개일에 지갑을 가장 많이 여는 손님들이 찾기 때문에 남은 기간에 비싼 작품과 대작 판매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갤러리 간 판매 실적 ‘희비’
참가 갤러리 간 판매 실적 차이도 컸다. 주목받는 작품을 들고나온 대형 갤러리들만 성과가 좋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하우저앤드워스 갤러리다. 이 갤러리는 900만달러(약 120억4000만원)에 달하는 윌렘 드 쿠닝의 작품을 팔며 첫날 최고가 판매에 등극했다. 필립 거스틴의 850만달러(약 114억7900만원)짜리 작품도 넘겼다. 한국 갤러리 조현화랑도 가지고 나온 이배 작가의 작품 세 점을 모두 인도의 한 컬렉터에게 넘겼다. 그러나 미국 갤러리 카르마를 비롯한 다른 갤러리에서는 “지난해 행사와 비교했을 때 올해 VIP 오픈일 판매량이 현저히 줄어들었다”고 토로했다.

대부분의 갤러리는 이번 페어 분위기가 미지근한 이유로 세 가지를 꼽는다. 첫 번째는 중화권 경제 불황이다. 중화권 고객들이 아트바젤 홍콩의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행사가 열리던 상반기까지는 중화권 경기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중국 부동산 위기, 홍콩증시 하락 등으로 경기에 먹구름이 꼈다. 이번 바젤 또한 중화권의 경기 침체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中 경기 침체 직격탄
두 번째는 서양 대형 갤러리의 부재다. 실제 올해 아트바젤 홍콩에는 마리안 굿맨, 션 켈리 갤러리 등 2019년 행사 때 부스를 냈던 세계 대표 갤러리들이 보이지 않았다. 홍콩과 중국 간 정세 불안과 중화권 내 예술시장 경기 침체를 예상하고 불참을 택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자연스레 수백억원대의 대작 출품 수도 줄었다. 이날 현장을 찾은 컬렉터들도 “서양 대형 갤러리가 빠져 볼 만한 작품이 줄어들었다”며 “지난해 12월 열린 아트바젤 마이애미와 달리 비싼 작품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입을 모았다.

세 번째 요인으로 ‘홍콩의 중국화’를 꼽는 이들도 있었다. 한 외국 갤러리스트는 “중국의 검열을 피해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홍콩을 떠난 영향도 크다”고 말했다. 특히 아트바젤을 불과 한 주 남긴 19일 홍콩판 국가보안법이 통과되며 예술시장 내 불안감이 커졌다. 행사를 찾은 프랑스 갤러리스트는 “중국에 대한 반감이나 불안감 때문에 행사 직전 참가를 포기한 컬렉터도 많다”고 했다.

아트바젤 홍콩의 부진으로 9월 서울에서 열릴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프리즈 서울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프리즈 서울이 서양 갤러리와 고객을 끌어온다면 홍콩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한 갤러리스트는 “서울은 홍콩이 가진 ‘중국 리스크’가 없는 데다 중국에 비해 경기 전망도 밝다”며 “좋은 작품이 많이 나온다면 홍콩이 긴장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홍콩=최지희 기자 mymasaki@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